전체 글13 인생을 바꾸는 다섯 가지 마인드 첫째, 트렌드를 읽어라 나에게 좋은 아이디어가 있을 때 다른 누군가가 나의 아이디어를 듣고 좋은 생각이라고 말한다면, 그건 이미 늦은 것이다. 세상을 바꾸는 아이디어는 비웃음 당하고 비난받는 아이디어에 있을 것이다. 둘째, 얼리어답터가 되어라 첫째 문장과도 이어지는 말이다. 신념을 가지고 트렌드를 바라본다면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바꿀 수 있다. 남들의 비웃음에도 포기하지 말고, 마지막에는 웃는 사람이 되어라. 셋째, 남의 실행을 비웃지 마라 새로운 이야기에 의심만을 품지 말아라. 나보다 못한 사람에게도 배울 것이 있고, 성공한 사람이라면 그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하나라도 배우려고 하는 것이 좋다. 넷째, 나를 의심하지 말아라 실행을 옮기는 데에 있어 두려워하지 말아라. 말만 하는 사람과 말을 하며 행동으.. 2021. 11. 11. [중국 경제] 중국의 빈부격차 해결방안, 공동부유론이란? 중국은 무엇을 원하는가 공동부유론 제시의 배경 중국의 경제 성장으로 중국 자체의 부가 늘어났다. 그러나 중국 시장은 상위 10%가 자산의 90%를 가지고, 나머지 90%가 자산의 10%를 가지는 빈부격차의 구조가 되었다. 이에, 2021.8.17, 중국 시진핑 주석은 중앙재경위원회 제10차 회의에서 공동부유 추진 의사를 밝혔다. 공동부유론의 추구점 그래서 중국은 대체 무엇을 원한다는 것인가? 그 답은 바로 중산층 형성에 있다. 독일식으로, 소비를 담당하는 중산층을 늘리겠다는 것이다. 중간을 탄탄히 해, 너무 못 사는 사람과 너무 못 사는 사람들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이것이 중국이 말하는 공동부유다. 공동부유의 추진 방식 중국은 공동부유를 총 3차에 걸친 분배 체체를 통해 실현하겠다는 입장이다. 첫째는 임금소득이다. 소득 수준을.. 2021. 11. 11. 미래에는 이 세가지 기술을 잡은 사람이 부자가 된다 첫째 나만의(특정 기업만의) 기술 둘째 ESG분야의 기술 셋째 미래산업 분야의 기술(ex. IoT, 인공지능, 메타버스) 2021. 11. 10. 성장사업은 10년을 주기로 변한다 IMF 이후 1995년~2000년대 닷컴버블 (IT 버블) ~2008년 즈음까지 부동산이 세계경제를 주도(한국, 중국 부동산 재벌 생성) 2010년부터 또다시 경제 급변(2009년 스마트폰 출시) => 모바일 생태계 구축 구글, 애플 등 기업의 성장 2021. 11. 9. 미국과 중국이 푼 돈은 어디로 가는가 2010년대 이후 세계 소비 가속 미국은 2008년 세계금융 위기 이후로 돈을 다량으로 풀기 시작. 그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해 미국은 2015년부터 테이퍼링(+금리를 3%까지 인상 계획)을 실시하려 함 그러나 2019~현재 코로나 사태로 인해 테이퍼링을 하지 못하고 다시 돈을 풀기 시작 (미국은 2021.11.03,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테이퍼링 개시 발표) =>코로나 이후 이 부작용을 몇 년에 걸쳐서 맞게 될 것 높았던 레버리지 무너짐, 과열된 산업 무너짐 그런데 돈이 너무 많이 풀려 있음 (중국은 정부가 돈을 조이면 기업이 다량 파산, 반대로 돈을 풀면 생존하는 구조였음. 그러나 현재는 돈을 풀어도 파산을 함. = 국가에서 돈을 풀어도 기업에 돈이 안 간다는 뜻) 그럼 돈은 어디로 가는가? 기술을 가.. 2021. 11. 8.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