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저축·투자

주택청약 신청방법과 당첨 조건은? 사회초년생을 위한 쉽고 빠르게, 주택청약 한눈에 보기.

유린하 2021. 12. 29. 14:24

정말 오랜만에 이렇게 글을 쓰는 것 같지 싶습니다.

벌써 2021년이 다 지나고 2022년이 다가오는 연말이라. 다들 여러모로 연말 정산하느라 바쁘게 지내시는 것 같네요.

오늘은 그래서 새로 사회초년생이 되어 사회로 나아가실 분들을 위해, 주택청약에 대해 정리해보기로 했습니다.

이미 정보는 세상에 넘치지만, 이걸 정확하고 간결하게 정리해드리는 게 제 역할인 거겠죠? 목차 확인하고, 바로 시작합시다.

 

목차

1. 주택청약이란?

2. 주택청약 가능 자격?

3. 주택청약은 왜 넣는가?

4. 청약 당첨 조건은?

 

1. 주택청약이란?

보통의 경우 주택청약은 '주택 청약 종합 저축'을 이르는 말로 쓰입니다.

요즘 아파트 사기가 하늘의 별따기인데, 이마저도 청약저축 없이는 정말 힘듭니다. 대부분의 신축 아파트들이 청약저축 보유자들을 대상으로 분양을 하기 때문입니다ㅠㅠ. 일정의 점수 맞추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청약 로또라고도 불리지요. 분양의 최저조건이 주택청약이 되겠고요, 여기서 점수를 매기고 추첨을 통해 분양을 우선적으로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주는 겁니다. 생각보다 간단하죠?

 

2. 주택청약 가능 자격?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보통의 경우 19세부터라고 하지만, 미성년자도 개설 가능합니다(다만 미성년자의 경우 기간에 상관없이 2년만 인정됩니다)

 

3. 주택청약은 왜 넣는가?

굳이 신축아파트를 분양받기 위해 고생해가며 주택청약을 넣는 이유가 무엇인가 싶을 수도 있지요. 그냥 기다렸다가 매물로 나온 거 사면되는 게 아니냐, 혹은 이미 매물로 나온 아파트를 사면 되는 거 아닌가 싶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주택청약 최고의 메리트는 가격에 있습니다. 이게 '시세차익'을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우리가 아는 주택 가격은 보통 부동산 시장의 가격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는 시장원리에 따른 가격변동에 따른 가격입니다. 사람들이 부동산에 내놓는 가격을 통상적으로 따르게 된다는 말 입니다. 따라서 지어진 아파트들은 주변 아파트의 가격을 따라 가격이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됩니다. 보통의 경우, 높아지게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죠(지었다는 것 자체로 수요가 있을 것). 그런데 이 가격을 처음 공급하는 건설사가 정할 경우, 건설사의 건설비가 총 2억이 들었다고 할 때 이를 10억에 판매할 수도 있겠죠, 그러면 건설사가 8억을 꿀꺽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청약 분양가는 보통 '자제비+택지비+건설사 이윤' 형태로 정해집니다.

 

이때 주택청약을 통해 이 아파트를 3억에 분양받는다면, 이 아파트는 몇년 내에 주변 아파트 시세인 10억 전후로 솟게 되는 것이죠. 만약 당첨이 되었는데 아무리 대출을 받고 돈을 끌어모아도 살 수 없다고 해도, 분양권만 팔아도 꽁돈이 생깁니다.

이것이 사람들이 주택청약에 목매는 이유입니다. 괜히 청약 로또라고 불리는 게 아닌 것이죠.

 

4. 청약 당첨 조건은?

청약의 만점 기준은 84점입니다.

이 점수는 총 세 가지 조건을 통해 결정됩니다

 

1) 청약 통장 가입 기간(17점)

청약 통장에 일정 금액(2만원~10만원)을 매달 넣은 기간을 말합니다. 6개월 미만부터 15년 이상까지 시간이 갈수록 점수가 커지며, 최대 17점까지 올라갑니다.

 

2) 무주택 기간(32점)

무주택 기간을 통한 점수는 미혼의 경우 30세 이후부터, 기혼의 경우 결혼한 나이부터 계산됩니다. 1년 미만부터 15점 이상까지 최대 32점까지 올라갑니다. 무주택 기간 계산의 경우 오피스텔은 주택에 해당하지 않는 등 꽤나 조건이 특이하니 따로 알아보시는 편이 좋습니다.

 

3) 부양가족 수(35점)

가족 구성원에 따라 점수가 정해집니다. 본인을 세대주로 잡는 기준, 배우자, 부모, 자녀가 세대원으로 되어있으면 됩니다. 본인만 있으면 5점, 가족 한 명당 5점씩 가산으로 6명 이상 있으면 35점이 됩니다.

 

아무래도 청약 통장 가입 기간이 있다보니 시간이 어쩔 수 없이 필요하게 됩니다. 사회초년생의 경우 2번, 3번의 조건을 따로 신경 쓸 필요는 없겠지만, 1번 조건이 있다 보니 최대한 일찍 들어놓은 것이 미래를 위해 좋겠죠. 2번 조건의 경우 부동산 계약을 할 때마다 따로 신경 써 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빠르고 간단하게 설명한다고 짧게 적어봤는데, 더 정확하고 자세한 내용을 원하신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시면 되겠습니다.

https://www.applyhome.co.kr/co/coa/selectMainView.do

 

이제 막 사회에 발 들여놓게 되실, 혹은 이미 들여놓으신 사회초년생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만 포스팅 마치겠습니다.